주택건설부 전문가위원회 부주임위원: 집값폭락 기대, 어리석은 생각
2014년 03월 25일 13:38【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중국은 한창 도시화과정에 처해있다. 올해 “정부사업보고”는 “3개 1억명”문제를 중점적으로 잘 해결해야 한다고 제기했다. 이는 강성수요를 가져올것이다.
2013년 부동산투자는 전국 고정자산투자액의 20%를 차지했다. 올해 우리는 GDP증속을 7.5%에 유지시키고 도시 신규취업을 1000만명으로 한다고 제출했다. 이런 정황하에서 집값이 폭락한다는것은 비현실적이다.
현재 일부 사람들은 집값이 반드시 폭락할것이라고 하면서 이러쿵저러쿵 한다. 그러나 실제상에서 집값폭락은 일종의 어리석은 생각이라고 나는 인정한다.
집값폭락은 무엇과 관계가 있을가? 국제상으로 볼 때 집값의 대폭 하락은 도시화률과 관계된다. 한개 국가의 도시화률이 60%를 초과할 때 집값이 대폭 하락이 가능하게 발생한다. 미국의 집값에 파동이 생길 때 도시화률은 70%를 초과했고 일본의 집값거품파멸은 도시화률이 67%를 초과했기때문이였다. 유럽에서 이런 정황이 나타난것도 도시화률이 65%를 초과했을 때이다. 현재 중국도시화률로 놓고 볼 때 부동산시장의 붕괴점은 아직까지 아주 멀다.
또한 올해 “정부사업보고”는 “3개 1억명”문제를 중점적으로 잘 해결해야 한다고 제출했고 도시화과정에서 이 “3개 1억명”은 주택의 강성수요를 가져올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