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보! 위챗 투표 사기 성행
2017년 03월 27일 15:26【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인터넷에 “위챗”, “투표”, “사기”라는 세글자를 입력하면 “우리 아기 재능 비기기”,“친구회사의 선전평의 활동” 등 류형의 투표에 참가하여 사기 당한 사람들의 사례가 수두룩하게 뜬다.
최근 호남성 악양경찰측은 위챗 모멘트(微信朋友圈) 투표의 조작내막을 공개했다.
경찰측에 의하면 위챗투표에서 가장 쉽게 사기를 당하는 사람들이 바로 등록신청자들이다.
불법분자들은 먼저 풍성한 선물로 사람들을 유혹하여 등록시킨 후 개인정보를 절취, 연후에 “중병”이나 “차사고” 등 요언으로 부모들을 협박하고 금전을 갈취한다.
이런 투표는 대부분 공중계정(公众号)이거나 웹사이트주소(网址)로 시행되는바 고발 되였을 경우 공중계정과 웹사이트주소는 모두 페쇄된다. 하지만 그들의 진정한 회사는 외계에 알려지지 않았기에 다른 공중계정이나 활동명칭을 바꿀 경우 계속 사기를 칠수 있다.
때문에 투표링크를 받았다면 절대로 열지 말아야 한다.
위챗의 한 사용자 료모는 링크를 열자 휴대폰이 중독되였다. 링크를 열게된 순간 “투표”라는 휴대폰 “바이러스”가 자동으로 다운 되였던것이다.
경찰에 의하면 이것은 “포인트 환전(积分兑换)”이라는 “바이러스” 변종인바 휴대폰안의 모든 사람에게 보내지며 또한 그들과의 대화까지 속속히 알아낼 수 있다고 한다.
전화비 나가는것은 물론이고 자신과 친인들의 비밀담화, 개인정보가 모두 류출되며 휴대폰과 “알리페이(支付宝)”까지 련결된 상황이라면 그 위험성은 상상할수 없는것이다.
투표 사기를 감별하는 방법
투표 사기는 아래와 같은2가지 경우가 있다.
1.주최단위가 모호할 경우: 각 활동을 진행하는 위챗퍼블릭플랫품(公众平台)을 유심히 살펴보면 주최단위와 회사·도시가 밝혀있지 않다.
2.상품발급 방식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현금, 아이폰, 패드 등 값 비싼 상품을 발급한다면서도 발급방식조차 명확하지 않을 경우 그의 진실성을 의심해야 한다.
위챗 투표에 참가할 경우 주의사항
1.주최위챗 퍼블릭 플랫폼·협찬기업(赞助企业)에 류의
특히 타지방 플랫폼에서 개최한 본 지방 투표활동에 련관된 투표활동에 각별히 주의를 돌려야 한다
2.개인정보를 요구할 경우 류의
성명, 생일, 은행카드, 계좌번호 등 상세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것은 피해야 한다.
3.투표의 출처를 모를 경우 류의: 각종 활동명의로 보낸 링크(链接)·소프트웨어(软件) 등을 다운할 경우 불법분자들에 의해 정보가 류출되는것을 방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