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북경 12월 9일발 신화통신: 국내에서 처음으로 위챗페이로 돈을 요구하는 랜셈웨어사건이 일전 해결됐다. 반랜섬웨어 전문가는 이 바이러스는 프로그래밍수준이 낮고 암호화 처리가 간단해 주동적으로 전파되지 않고 바이러스범위를 통제할 수 있어 위챗지불에 영향주지 않는다고 했다.
라이징 안전전문가의 소개에 의하면 이 랜셈웨어어는 '간이프로그람언어(EPL, 易语言)으로 개발됐는데 업계내에서 처음으로 중문으로 개발된 랜셈웨어라고 한다. 랜섬웨어는 운행된 후 데스크톱과 비시스템 클라우드중의 지정된 파일을 암호화 처리하는데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컴퓨터를 재가동하면 랜섬정보가 뜨며 이와 함께 바코드도 뜨는데 사용자가 위챗으로 스캔하여 110원을 지불하여 파일을 보안해제하라고 요구한다.
라이징 안전전문가는 네티즌 사이에서 '위챗랜섬웨어'라고 불리우는 이 바이러스는 사실 휴대폰 바이러스나 위챗바이러스가 아니고 위챗으로 돈을 요구하는 컴퓨터 랜섬웨어라고 하면서 위챗, 알리페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했다. 바이러스의 프로그래밍수준, 영향 범위, 바이러스 위해와 보안해제 난도 등을 분석해보면 이 바이러스의 위험등급은 비교적 낮고 랜셈웨어중에서도 위험수준이 비교적 낮은 것에 속해 대중들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라이징 안전전문가는 이 바이러스가 광범한 주목을 끈 것은 주요하게 바이러스의 제작자가 돈을 요구할 때 해커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페로 요구한 것이 아니라 아주 보편적인 알리페이, 위챗페이로 돈을 요구했기 때문에 비교적 큰 두려움을 일으켰다고 했다.
래원: 인민넷-조문판 | (편집: 임영화) |
![]() |
주의사항: 1. 중화인민공화국 해당 법률, 법규를 준수하고 온라인 도덕을 존중하며 일체 자신의 행위로 야기된 직접적 혹은 간접적 법률책임을 안아야 한다. 2. 인민넷은 필명과 메모를 관리할 모든 권한을 소유한다. 3. 귀하가 인민넷 메모장에 발표한 언론에 대하여 인민넷은 사이트내에서 전재 또는 인용할 권리가 있다. 4. 인민넷의 관리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경우 메모장 관리자나 인민일보사 네트워크쎈터에 반영할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