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소년 10명중 2명 스마트폰 중독상태
2013년 06월 14일 09:46【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한국 국민의 절반가량이 스마트폰을 쓰는 가운데 청소년 10명 중 2명가량이 스마트폰 중독 상태로 나타났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또 스마트폰 이용자는 모바일 메신저와 게임, 뉴스 검색 등을 하는 데 하루 평균 4시간을 할애하는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미래창조과학부가 13일 발표한 "2012 인터넷중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만 10~1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18.4%로 전년(11.4%)보다 7.0%포인트 증가했다.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를 뜻한다.
만 10~49세 스마트폰 리용자 1만683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 성인(만 20~4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9.1%로 집계됐다. 이 또한 전년(7.9%)보다 1.8%포인트 늘어난것으로, 청소년과 성인을 합한 전체 중독률은 11.1%로 전년(8.4%) 대비 2.7%포인트 확대됐다.
년령대별로 나눠보면 10대(18.4%), 20대(13.6%), 30대(8.1%), 40대(4.2%) 순으로 10대의 중독률이 가장 높았다.
보고서는 스마트기기 확산에 따른 스마트 미디어 의존이 확대되면서 중독 위험성도 커진것으로 해석했다.
실제 한국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 실시한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6~19세 스마트기기 보유률은 64.5%로 지난해(21.4%)에 비해 3배로 늘어났다.
전체적으로 이용자들은 하루 평균 4시간씩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중독자는 사용시간이 무려 7.3시간에 달했다. 중독자는 1회 평균 19분씩 하루 23차례가량 스마트폰을 들여다봤다.
스마트폰 리용의 주목적은 모바일 메신저 사용이 67.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스마트폰 중독자는 온라인 게임(44.6%)을, 일반 사용자는 뉴스검색(47.9%)을 많이 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률도 여전히 두자릿수로 나타났다.
최근 한달동안 1회 이상 인터넷을 사용한 만 5~49세 인터넷 리용자 1만5천명을 대상으로 대인면접을 한 결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률은 10명 중 1명꼴인 10.7%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0.4%)보다 0.3%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특히 중학생의 중독률이 11.7%로 가장 높았고, 다문화 가정(12.3%), 한부모가정(11.8%)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률이 평균을 웃돌았다.
2011년 처음으로 조사를 실시한 유아동(만 5~9세) 중독률은 7.9%에서 지난해 7.3%로 소폭 감소했으나 같은 기간 취학 전 유아 중독률은 3.6%에서 4.3%로 늘어나 중독현상의 저연령화가 우려된다.
성인 인터넷 중독률은 6.0%로 전년(6.8%)보다는 감소했으며 이러한 성인 중독률 감소에 힘입어 전체 인터넷 중독률은 2011년 7.7%에서 지난해 7.2%로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