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혼녀성 절반이상 "자녀 꼭 가질 필요없다"
자녀 가치관 변화… 남아선호 사상도 퇴색
2013년 05월 14일 10:26【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결혼하면 반드시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전통적인 의식이 크게 옅어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승권 연구원의 "자녀 가치관과 출산행태의 변화"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한국 매체에 따르면 2012년 남편이 있는 15~44세 전국 기혼여성 4천500여명(부인 부재시 남편 대리 응답 포함)을 대상으로 한 이 조사에서 자녀 가치관을 파악한 결과, "자녀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갖는 것이 좋지만 없어도 무관하다)는 대답이 53.5%로 가장 많았다. 꼭 자녀를 둬야 한다는 응답은 46.3%에 그쳤다.
지금까지 몇차례에 시행된 같은 조사에서 자녀출산을 선택이 아닌 필수로 보는 비률이 절반 아래로 떨어진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결혼후 자녀를 가져야 하는지를 묻는 물음에서 "반드시 가져야 한다"는 대답은 2003년 54.5%, 2006년 53.8%, 2009년 55.9% 등으로 지금껏 한 번도 50% 이하로 내려온적이 없었다.
더욱이 자녀가 아예 "없어도 무관"하다는 응답이 무려 16.0%를 차지해 2003~2009년 같은 조사에서 11~12% 대에서 맴돌던 것에 견줘 크게 늘었다. 우리 사회의 퇴색해가는 자녀 가치관을 반영한것.
또 그간 뿌리깊게 남아있던 남아선호 사상도 이제 불식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아들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58.3%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대답했다. 아들이 "있는것이 좋다"는 33.0%,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겨우 8.2%에 불과했다.
2000년 같은 조사에서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 16.2%와 비교해 큰 차이를 보였다.
김 연구원은 "이번 조사결과는 저출산 상황을 개선하려는 정부 대책에 부정적 영향을 줄것으로 우려된다"며 "부모의 처지에서 자녀를 부담으로 여기지 않도록 양육부담을 줄일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