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품리익사슬의 “잠재적규칙”(민생시선)
약판매는 모두 수수료에 의거해
2013년 09월 13일 14:14【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동일한 약품의 생산공장이 1000여개에 달하는 이런 잔혹한 경쟁환경에서 판매액의 70% 이상을 점하는 병원을 뚫고 들어가 약처방을 떼는것을 주도하는 의사가 처방에 써넣게 하기까지 “수수료에 의거하지 않고는 팔아내지 못한다.”
최근, 그락소스미스클라인(葛兰素史克)위법범죄사건의 더욱 많은 세절들이 폭로됐다. 경찰측이 발견한데 따르면 알심들여 만들어낸 그의 “규정부합”의 외관으로 고객-여러 병원을 대비해 여러가지 형식의 “금전”판매를 실시했다. 이 회사의 중국부총재 겸 기업운영 총경리 량굉 등이 교대한데 따르면 판매루트를 개척하기 위해 투입한 “재빛”비용은 약품가격의 30%를 차지하고 매년 총 금액은 인민페로 수억원에 달했다. “대고객단체에 매년 드는 홍보예산은 대략 근 천만원에 달하는데 주요 고객은 전국의 거의 모든 3등갑급병원과 부분적 2등 갑급병원의 약품주관 부원장과 약제과주임들이다.”
기자는 관련 데이터를 찾아봤다. 2011년말까지 전국적으로 실제적 원료약품과 조제생산기업은 4629개, 그중 대부분은 방제약품생산기업이다. 약품 주요시장 즉 2급이상 병원(공립, 민영 포함)은 총 8100여개이다. 약공장이 많고 연구개발능력이 차하며 제품동질화가 엄중하고 경쟁이 치렬하다. 시장은 “중은 많은데 먹을 죽이 적은” 형편, 수수료로 약품을 판매하는것은 업종내에서 통용되는 “잠재적규정”이다. 추산에 따르면 의약 령역의 상업수뢰원가는 약품가격의 20-30%, 심지어 50%에까지 달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