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 좁히지 못해, 한일 신임 외교장관 회담 성과없이 마무리
2017년 08월 09일 12:27【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7일, 한국 외교장관 강경화와 일본 외무대신 고노 타로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동아시아협력계렬 외교장관회담기간에 회담을 진행하고 중점적으로 "위안부"문제와 조선반도 핵문제에 대해 토론했다.
한일 량국은 "위안부"문제에서 오랜 분쟁이 있었는데 이날 회담에서도 량측의 태도는 완화되지 않았다. 한일 신임 외교장관의 첫번째 회담은 성과를 얻지 못한채 막을 내렸다.
【력사문제에 대해 서로 양보하지 않아】
7일 회담에서 "위안부"문제에 대한 분쟁의 핵심은 의연히 2015년에 달성한 한일 "위안부"협의였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8일 보도에서 강경화는 회담에서 고노에게 한국 대다수의 국민들이 모두 이 협의를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하면서 한국이 얼마전 "위안부"협의를 재심사하기 위해 외교장관 직속의 태스크포스에 대해 설명했다. 하지만 고노는 이 협의를 "제대로 리행"하길 요구했다.
일본 교토통신사는 고노는 이번달 3일 외무대신으로 취임한 첫번째 기자회견에서 강경한 태도를 나타냈고 일본측은 "위안부"협의에 대해 재담판할 의향이 없으며 "안정적으로 실시"하는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 문제에 대해 한일 량측의 주장은 의연히 "평행선"을 달리고있다.
【령토문제 재차 불꽃 튀여】
한일 외무장관회담이 7일 끝난후 일본정부는 8일 2017년 방위백서를 발표하여 재차 "독도"(일본은 "다케시마"라고 부름)를 일본 령토라고 주장했는데 한국 외교부는 강렬한 항의를 제기했다.
한국 외교부는 이날 주한 일본대사 수석공사를 소견하고 한국 국방부는 일본대사관 무관을 소견하여 항의했다.
이외 강경화와 고노는 회담에서 공동으로 조핵문제에 대응할데 대해 일치를 달성했다.
하지만 《조선일보》는 한 평론에서 2012년 재당선된후 아베가 조선에 대응한다는 리유로 련속 5년간 대폭으로 군사비용예산을 높였는데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방위대신 오노데라 이쓰노리는 3일 취임식에서 자위대의 "적기지공격능력"을 보류할지에 대해 토론할것이라고 하면서 조선미싸일발사거점을 파괴하는데 사용할것이라고 했다. 보도는 이 행동을 아베를 위해 "군국주의 부활을 꾀하는"것이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