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빈곤감소경험이 세계에 주는 계시
2013년 06월 06일 09:25【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중국의 노력은 지구촌 빈곤기아인구를 감소시킨 가장 큰 인소라고 유엔 량식농업기구 총간사 다실버는 말한다.
지난 20년간 중국의 기아인구수량은 37.6% 줄었으며 1억명이 빈곤에서 벗어났다. 지난 10년간 중국 농촌지역의 실제 인구당수입은 해마다 8% 장성했고 도시 농촌수입차이는 선명하게 축소되였다. 이에 유엔 량식농업기구 총간사 다실버는 신화넷에 "중국의 성공적인 빈곤감소경험이 세계에 주는 계시"란 서명문장을 발표했다.
문장은 다음과 같이 쓰고있다.
최근 데이터로부터 지구촌 빈곤과 기아층 인구는 약 8.68억명, 1990년부터 1992년사이보다 1.32억명, 13.2%가 감소된걸로 나타났다.
지난 20년간 중국의 기아층인구수량은 37.6% 줄었으며 1억명이 빈곤에서 벗어났다. 유엔이 2000년에 제출한 새천년발전목표에 2015년에 가서 빈곤, 기아층인구를 반으로 감소시키자고 제출했다. 중국은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정진하고있다
극단 빈곤인구와 기아를 제거하는 방면에서 일부 나라의 성과는 우리가 목표를 실현할수 있다는것을 말해주고 기아를 “0”으로 없애고 지속가능한 발전하는 세계를 창조할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우리는 전면적인 경제장성을 위해 새로운 활력을 주입해야 하며 소농경제 등 생산성업종에 발전조건을 창조해주어야 한다. 당전 기아를 조성하는 주요한 원인은 생산량부족이 아니라 일부사람들은 아예 량식을 생산할수 없기때문이다. 생산성업종에 발전조건을 창조해준다는것은 취약한 군체에 사회보장을 설계해주고 실시해주어야 함을 의미하며 자금을 제공해주어야 함을 말해준다.
이면에서 중국의 경험은 참고가치가 매우 크다. 유력한 개혁조치와 투자는 중국의 오늘날 성과를 이루게 한 원인이였다.
물론 중국은 의연히 계속 노력하여 환경의 지속가능과 평형발전의 전제에서 경제장성을 한층 추진하고 빈곤과 기아를 제거해야 한다.
중국은 지구촌경제발전의 주요한 동력의 나라로 되여 세계의 주목을 받고있다.
이는 경제협력기구와 량식농업기구가 《2013-2022지구촌농업전망》보고속에 중국을 주제로하는 특별장절을 설치하게 된 리유이기도 하다.
문장에 따르면 해당 보고는 6월 6일 북경에서 발표하게 된다(신화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