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번지던 카나다 산불, 확산속도 한풀 꺾여
2016년 05월 11일 09:27【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걷잡을수 없이 번지던 카나다 앨버타 주 대형 산불의 확산속도가 비와 낮아진 기온 덕분에 한풀 꺾인 모양새다.
9일(현지시간) AFP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이번 산불 사태의 진원지인 포트 맥 머레이 시 주변에서는 700여명의 소방관이 사투를 벌이고 있다.
현장에는 화재진압용 항공기 15대와 헬기 20대도 투입됐다.
그러나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무섭게 확산하던 초반 기세는 사라졌다고 소방 당국자들은 전했다.
일주일 전 산불이 발생했을 당시 이 지역은 2개월 이상 비가 내리지 않은 데다 30℃에 이르는 고온 현상과 초속 40킬로메터의 강풍이란 최악의 조건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 비가 내려 기온이 낮아지고, 강풍도 잦아들면서 산불 확산속도 역시 완만해졌다는것이다.
앨버타주 소방정보 담당자인 매슈 앤더슨은 현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피해 면적은 거의 40만 에이커(약 1618평방킬로메)로 전날과 같은 수준이며 산불 진행 속도도 느려졌다"고 말했다.
덕분에 소방관들은 현재 산업기반 보호와 주민 복귀를 위한 핵심 인프라 복구에 집중하고 있는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8일에는 현지 전력가스업체 직원 250여명이 파견돼 전력 복구 작업을 벌이기도 했다.
이번 불로 포트 맥 머레이 중심가는 큰 피해가 없었으나 서쪽과 북쪽에 밀집한 주거지역이 큰 피해를 봤고 주민 10만명이 주변 지역으로 몸을 피했다.
이중 2만5000명은 도시 북쪽 근로자 캠프로 달아났다가, 지난 주말 사이 다시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하기도 했다.
이들은 현재 대학 기숙사와 숙박시설, 캠핑장 등에 분산 수용돼 있다. 갈 곳이 없어서 주차장에서 하루하루를 버티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다행히 카나다의 오일샌드 생산 중심지인 이 지역의 석유생산시설은 현재까지 직접적 피해를 보지 않았으나 생산이 중단된 곳이 대부분이다.
공식 발표에 따르면 이로 인한 원유생산량 감소분은 카나다 전체 생산량(하루 250만 배럴)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하루 64만5000배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