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북륙대학 리강철교수 "중국조선족 인구 감소세 만족처럼 되지 않을가?”
2014년 02월 20일 10:55【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
|
"중국의 조선족인구의 마이너스 성장이 지속되고 그 흐름을 완화하는 대책 부재가 지속되면 중국조선족이 자기 민족정체성을 잃은 만족처럼 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 2월 17일 서울에서 열린 한 세미나에서 일본 북륙대학 리강철 교수가 이 같은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리교수는 2010년의 중국 조선족인구 통계자료를 인용해 “2010년 전국 조선족인구가 183만 929명으로서 2000년(192만 3842명)대비 4.83% 줄었다”며“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것”으로 내다보았다. 2000년~2010년, 10년사이 조선족 고유 집거지인 길림성, 료녕성, 흑룡강성의 조선족 인구가 줄줄이 줄고 북경, 광동, 상해 등 연해도시의 인구가 대폭 늘었다. 흑룡강성이 15.61%로 가장 많이 줄었고 다음으로 길림성 (9.21%), 료녕성(0.63%) 순이었다. 반면 동북 3성을 제외한 상해(증가율 334.71%), 산동성(증가율 121%), 북경(증가율 83.51%) 등 중국의 연해도시는 조선족인구가 큰 성장폭을 보였다. 조선족인구가 줄고 늘어난 지역이 확연히 갈렸지만 전반적으로 중국조선족인구는 10년사이 4.83% 감소했다.
리교수는 중국 조선족인구의 감소에 대해 연변조선족인구비례의 추이를 실례로 분석했다. 해방초기 조선족인구 비률이 63.4%를 차지했던 연변이 2012년 조사에서 조선족인구(79만8000명)비률이 36.65%밖에 안되었다.
리교수는 “조선족인구의 실태파악이 어려워 실제 조선족인구의 감소세는 통계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일것”으로 추측했다. 조선족인구의 감소원인을 조선족인구의 이동, 젊은 세대의 출산률 저하 등을 요인으로 꼽았다.
리교수는 이 같은 조선족의 이동을 “새로운 공동체 형성, 새로운 기업가 집단의 형성, 디아스포라론'으로 락관하는 사람도 있지만 조선족의 고유기반 상실, 새로운 집거지의 조선족교육 부재 등 현상을 보면 중국에서 조선족의 한족사회로의 동화가 가속화 될것”이라며 "조선족 위기론"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