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이라크 사형집행 177건… 후세인정권 이후 최대
2014년 10월 21일 11:00【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지난해 이라크의 사형집행 건수가 177건으로 사담 후세인 정권 퇴출 뒤 최대인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파간 류혈충돌을 더 자극할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라크주재유엔사무소(UNAMI)와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19일(현지시간) 낸 합동보고서에서 작년 이라크에서 피고인 177명(남성 174명, 녀성 3명)에 대해 사형이 집행됐다고 밝혔다. 사담 후세인 독재정권이 미국의 침공으로 퇴출당한 2003년 이후 최고치다.
이라크는 후세인정권 몰락 뒤 잠시 사형제를 페지했다가 2004년 헌법을 다시 제정하면서 이를 되살렸다. 집행건수는 부활 이듬해인 2005년 11명으로 시작해 2006년 54명으로 급증했고 이후 2009년 124명으로 늘어났다. 치안이 상대적으로 안정됐던 2010년(18명)과 2011년(67명)에 잠시 주춤했다가 2012년 123명으로 다시 100명을 넘겼다. 올해 8월말까지 사형집행건수는 60건이며 현재 1~2심에서 사형이 선고됐거나 최종 확정돼 수감중인 사형수는 1724명이라고 이 단체는 덧붙였다.
이라크 형법과 대테러법에 따라 사형은 테러범죄, 대내외 국가안보에 대한 공격범죄, 살인 등 중범죄에 대해 선고될수 있다.
UNAMI과 OHCHR는 "이라크의 사형집행건수는 이라크내 류혈사태에 따른 민간인 사망자가 증가하는것과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며 "사형이 선고되는 사건의 피고인이 변론권이 보장되지 않은채 수사와 재판을 받고있다》고 우려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 제이드 라드 알 후세인은 《형법체계가 부실한 이라크 상황을 고려할 때 유죄에 의심이 남는 피고인의 사형 집행이 많아지면 어느 한 부류가 소외와 불만을 느끼게 되고 이는 종파간 류혈충돌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될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