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례허식 금지로 축제와 회의 줄어, “기업에 비용 풍기는 사례 적어졌다”(미니조사)
2016년 12월 16일 13:16【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지난날 여러가지 축제, 포럼, 카니발 등 “이쪽에서 끝나면 저쪽에서 등장”하고 허례허식하는 여러가지 행사가 비용이 자연적으로 적지 않게 들지만 정부부문의 경비가 제한되였기에 일부 지방정부들은 기업에 풍기는 상황이 결코 드물지 않았다. 최근년간 허례허식이 눈에 띄게 억제되였으며 이에 따라 “기업에 비용을 풍기는 사례도 적어졌다”.
지난날: 축제출범이 끝 없고 비용풍김도 끝 없어
하북성 중부 어느 현시의 한 기업주는 지난날 개별적인 현, 시에서 외국상공인과 외국자본을 유지하기 위해 축제와 회의를 만드는데 바삐 돌면서 “유명배우, 유명진행자를 초청할뿐만아니라 기타 여러가지 비용까지 한번의 야회에서 몇시간내에 수백만을 ‘탕진’하군 했는데 이와 같은 돈의 적잖은 부분을 모두 현지의 기업에 풍겼다”고 기자에게 말했다.
단순히 축제와 회의를 만드는것을 통해 지명도를 높이고 외국상공인과 외자를 유치하는것은 일부 지방정부의 리념이 락후하고 능력이 부족하다는것을 폭로했다. 외국상공인과 외국자본 유치의 본질은 생산요소를 흡인하여 본지역에 집중시키는것으로서 인력, 자본, 기술 등이 포함된다. 이 기본론리를 명확히 한 뒤 다시 일부 지방정부의 “문예야회”식, “팬미팅”식의 선전과 추천소개를 살펴보면 사실상 모두 구조가 더욱 최적화된 생산요소조합을 흡인할수 없으며 “축제를 끝없이 만들고 끝없이 비용을 풍긴다”해도 효과가 좋지 않다는것을 알수 있게 된다.
석가장시당위 당학교 경제학 교수연구부의 황월은 지역의 지명도를 제고하는것을 통해 외국상공인과 외국자본을 유지하는것은 크게 비난할바가 못되지만 강제적으로 비용을 풍기는 작법은 합리하지 못할뿐만아니라 “친절”하고 “청백”한 정부와 업체의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전문보기:
http://paper.people.com.cn/rmrb/html/2016-12/16/nw.D110000renmrb_20161216_7-01.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