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에 파장 클 전망
세계패권 강화 위한 시도
미국이 사상 처음으로 대서양연안 대륙붕에서 석유시추를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미국의 대륙붕 석유생산이 본격화되면 국제유가시장의 판도와 이에 따른 지정학적 영향력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미국 내무부는 오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북동부지역인 버지니아와 노스·사우스캐롤라이나, 조지아 주 연안 50마일(80킬로메터)밖의 해상에서 석유와 가스 시추를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1월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샐리 주얼 내무부 장관은 “실제 민간회사에 시추권과 구역을 임대하는것은 2021년에나 가능할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그러나 환경적으로 민감한 알래스카 연안밖에서는 시추권 임대를 금지하고 태평양연안 지역도 넣지 않았다.
환경문제나 시추에 따른 지진가능성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 임대를 철회할수 있도록 했다.
주얼장관은 “기술적으로 확보 가능한 석유와 가스 자원의 80%를 개발하면서 보호할 지역은 보호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기후변화와 환경 문제를 강조해온 오바마대통령이 국내 석유시추 확대를 요구해온 공화당과 에너지기업을 달래기 위한 일종의 절충을 한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미국이 이미 셰일 석유와 셰일 가스 증산으로 사실상 세계 최대 산유국이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에 미치는 파장은 클수밖에 없다.
최근 저유가 공세를 유지해온 미국이 에너지를 바탕으로 세계 패권에 더욱 강한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시도라는 지적이 나온다.
래원: 연변일보 | (편집: 장민영) |
주의사항: 1. 중화인민공화국 해당 법률, 법규를 준수하고 온라인 도덕을 존중하며 일체 자신의 행위로 야기된 직접적 혹은 간접적 법률책임을 안아야 한다. 2. 인민넷은 필명과 메모를 관리할 모든 권한을 소유한다. 3. 귀하가 인민넷 메모장에 발표한 언론에 대하여 인민넷은 사이트내에서 전재 또는 인용할 권리가 있다. 4. 인민넷의 관리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경우 메모장 관리자나 인민일보사 네트워크쎈터에 반영할수 있다. |
많이 본 기사 | 24시간 | 48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