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터기술, 진짜 같은 가짜 환자 만들다
2016년 12월 13일 15:59【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3D 프린터는 이미 의료 령역에서 서서히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있다. 환자 맞춤형 의료용 보조기는 물론 의족, 의수 그리고 체내에 삽입하는 스텐트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환자의 재활과 치료를 돕고있다.
하지만 더 기대되는 부분은 따로 있다. 로체스터 의과 대학의 연구팀은 3D 프린터를 리용해서 진짜 같은 가짜 환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있다. 의사들과 의대생이 더 진짜 같은 가짜 환자를 통해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술 기술을 익히게 하기 위해서다.
이들이 개발한 3D 프린팅 인공 장기는 사람에게 이식할수는 없지만 진짜 간이나 콩팥 같은 촉감과 질감을 가진것은 물론 절개를 할 경우 가짜 피가 나오도록 제작되였다.
물론 이전에도 수술 련습용의 가짜 장기는 있었지만 3차원적인 미세 구조를 완전히 모방한 완성도 높은 진짜 같은 가짜 장기는 만들기 어려웠다. 대안으로 동물 조직 및 장기를 리용할수 있지만 비용이 비싸고 실제 사람과 다름은 물론, 륜리적인 문제도 있었다.
하지만 3D 프린터 기술의 진보는 이 모든것을 바꿀수 있다. 진짜 환자와 거의 똑같은 가짜 환자의 수술을 련습할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 나아가 연구팀은 3D 프린터를 리용해서 진짜 뼈와 비슷한 수준의 강도를 지닌 가짜 뼈도 제작했다. 이를 통해 근골격계 수술 역시 련습할수 있다.
3D 프린터의 가장 큰 장점은 원하는 형상으로 다양한 출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환자 맞춤형으로 출력할수 있다. 이를 리용해면 복잡하고 큰 수술을 앞둔 환자의 3D 프린팅 모델을 만들고 위험 부담없이 수술을 미리 련습할수 있다. 심지어 이 3D 프린팅 장기에 실제 종양과 비슷한 질감을 지닌 가짜 종양을 포함할수 있다. 이를 통해 집도의가 더 완벽한 수술을 사전에 련습할수 있게 되는것이다.
이 3D 프린팅 모델 장기와 환자는 심플이라고 명명되였다.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되는것은 좀 더 미래의 일이 되겠지만 심플은 3D 프린터가 어떻게 의료에 혁신을 일으킬수 있는지에 대한 좋은 사례가운데 하나일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