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지 설정
최신 교육 과학 문화 스포츠 건강 관광 멀티미디어 포토 중국명승 특별추천 【량회특집】
이달의 칼럼

2022 흑룡강 랭수어·겨울어획철|흑룡강 랭수어가 맛좋은 리유

2022년 12월 30일 14:58

【글자 크게 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경박호 홍미어(红尾鱼)는 일찍이 건국 70주년 열병식과 전국 량회의 식탁에 올랐다.

흥개호 대백어와 련환호 쏘가리는 중국 '유명한 4대 담수어' 중에 손꼽는다.

맛이 독특하고 육질이 신선하며 종류가 다양하고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다… 이처럼 흑룡강성 랭수어는 그 장점이 아주 많다.

타고난 육질에 료리사의 지지고 조리는 다양한 료리솜씨가 더해진다… 더모리(得莫利) 생선찜, 우쑤리강어 등 생선집마다 조리법이 다르지만 어떻게 먹어도 맛있다. 왜일가? 흑룡강성록색식품과학연구원, 동북농업대학 동물과학기술학원 수산학과 및 중국수산과학원 흑룡강수산연구소의 수산물 가공과 영양, 어류 양식 전문가들의 연구에 따르면 맛의 비밀은 생선의 구성성분과 생장방식에 있었다.

물고기의 구성성분으로부터 볼 때 우리 성은 지세가 높고 추운 환경에 처해 있어 물고기의 생장이 느리다(만약 붕어의 생장기가 적게 2년이라면 황하 이남에서는 당해에 시장에 나갈 수 있다). 이는 어류의 당류, 지방산, 아미노산, 특히 맛아미노산 등 영양물질의 축적에 유리하며 어육의 근섬유가 가늘고 밀도가 크며 근섬유 면적이 크고 탄성이 좋으며 근육전단력이 작고 계수력이 큰 등 품질면에서 우수함이 보여지는데 맛이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한 등 면에서 나타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한대 환경에서 우리 성의 량질의 잉어는 경도(硬度)와 접착성, 씹는 맛, 탄성이 각각 3.5(/g), 0.85(g*s), 4.08(/g), 4.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총량은 약 18% 이고 필수아미노산은 8%에 달할 수 있어 기타 양식지역의 15.5%와 6.5%의 수준보다 훨씬 높다. 또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페닐알라닌, 알라닌, 글리신, 티로신 등 맛아미노산 함유량도 높다.

우리 성 방정현이 원산지인 방정붕어(银鲫)는 조단백질 함량이 근육량보다 18.01%나 높고 아미노산 총량은 15.14%에 달한다. 그중 맛아미노산은 전체 아미노산의 41.3%로 인공육종으로 양식한 화풍고배붕어(华丰高背鲫)의 39.3%, 양자붕어(扬子大鲫)의 38.9%, 연지붕어(胭脂鲫)의 38.9%보다 높다. 맛에서 확실한 우세를 보인다. 측정 결과 흑룡강잉어는 조지방 함량이 약 1.2%이지만 불포화지방산과 근육간지방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흥개호대백어는 단백질함량이 18% 이상, 불포화지방산함량이 70% 이상에 달하며 료리향이 신선하고 맛이 부드럽고 매끈하며 즙이 많다.

바로 영양물질이 풍부하기때문에 룡강어의 육질은 6개월 가까운 겨울을 거쳐 매우 단단해지고 살이 찌지도 않고 탄력을 유지해 특별히 신선한바 다른 계절의 물고기나 바다물고기와 크게 구별된다. 천년의 개강어(开江鱼) 먹는 풍습을 답습하여 형성된 개강어는 이미 중국의 유명한 '4대생선' 중의 하나가 되였다.

어류의 생장방식으로 볼 때 우리 성에서 양식한 어류의 품질이 출중한 원인은 세가지가 있다.

첫째, 무당 방양밀도와 단위당 수확량이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우리 성의 못의 단위당 수확량은 강소, 절강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치고 천진, 료녕의 5분의 1에도 못 미친다). 게다가 1년 생산 기간이 5개월 남짓이어서 (남방에서는 1년 내내 생산) 물고기 몸체 스트레스가 적고 사료도 적게 먹이며 병도 적게 걸린다.

둘째, 좋은 수질 생태 환경과 추운 기후로 못 자체에 물을 정화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물의 '부영양화(富营养化)'의 발생을 줄인다. 게다가 못 바닥의 침적이 느려서 냄새를 일으키는 일부 남조류와 방선균 등 미생물이 적으므로 물고기 몸에는 '흙냄새'나 '항생제 냄새'가 나지 않는다.

셋째, 우리 성의 호수저수지가 채택하고 있는 것은 '사람이 육종하고 자연이 기른다(人放天养)'는 생태양식방식으로 먹이도 주지 않고 비료도 주지 않으며 약도 쓰지 않는다. 그러나 남방의 호수는 대다수가 그물케이스나 울타리식 먹이양식방식이다. 같은 '사람이 육종하고 자연이 기르는' 방식이라도 먹이의 공급원이 다름에 따라 맛과 식감이 큰 차이가 난다. 례를 들면 우리 성의 흥개호에서 나는 대백어는 맛이 좋은데 그 주요원인은 흥개호에서 많이 나는 수려한 흰새우를 주요먹이로 하기때문에 게맛이 나는 독특한 품질을 형성한다.

래원: 인터넷흑룡강신문(편집: 김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