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밤 하늘에는 류성우의 모습이 빠질 수 없다. 물병자리δ남류성우, 염소자리 α류성우, 7월 룡자리 γ류성우 등 여러차례 중소형 류성우가 7월말에 큰 변화를 맞이하여 밤하늘을 밝히게 된다. 류성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때 관측할 수 있다.
태양계의 혜성이나 소행성이 방출하는 대량의 파편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할 때 고속으로 연소하여 류성을 형성한다. 류성우의 출현은 일정한 규칙성이 있는바 매년 거의 같은 시기에 출현한다.
스타련맹 CSVA의 공동발기자 장진명의 소개에 따르면 1년 동안 복사점이 물병자리내에 위치한 류성우는 총 3차례 출현하는데 각각 상반기의 물병자리η류성우와 하반기 물병자리δ남류성우, 물병자리δ북류성우라고 한다. 그중 물병자리δ남류성우는 보통 매년 7월 12일부터 8월 23일 사이에 나타나고 7월 30일경에 극대기를 맞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