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지 설정
최신 교육 과학 문화 스포츠 건강 관광 멀티미디어 포토 중국명승 특별추천 【량회특집】
고위층동향

5월에 먹기 좋은 영양가 있고 맛있는 나물들

2025년 05월 20일 15:43

【글자 크게복원 작게】【메모】【프린트】【창닫기

바람이 불면 대지는 살며시 선물을 숨겨놓는다. 눈에 잘 띄지 않는 구석구석에 삐죽삐죽 얼굴을 내민 산나물들이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그래서 산나물을 캐는 것이 어른들의 ‘자연 속 보물찾기’라는 말이 있다.

솔장다리(猪毛菜)

영양성분: 셀레니움,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비타민C 등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약용가치: 중의는 개똥지빠귀의 액즙은 혈압을 낮추고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주로 고혈압, 현기증 불면증, 장 건조 및 변비를 치료한다.

민들레(蒲公英)

영양성분: 비타민, 리놀레산, 꽃봉오리, 잎과 꽃에는 아미노산과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약용가치: 중의학에서는 민들레가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리뇨작용을 하며 광범위한 향균작용을 가지고 있고 인체의 면역기능을 자극하여 담낭을 리롭게 하고 간을 보호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한다.

쇠비름(马齿菜)

장수채소라고도 불린다.

영양성분: 티오닌, 리보플라빈, 아스코르브산, 카로틴 등을 함유하고 있다. 마치나물은 수분함량이 높고 칼로리가 낮으며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다.

약용가치: 중의학에서는 마치나물이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피를 식히고 지혈하는 효과가 있으며 열독성 혈이질과 뱀과 벌레 물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냉이(荠菜)

영양성분: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비타민C 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약용가치: 중의학에서는 냉이가 입에 쓴맛이 나고 누런 설태, 여드름 발생, 비장 및 위장 정체, 식욕부진 등 증상이 있는 사람 및 고혈압, 고지혈증 환자에게 적합하다고 한다. 또한 냉이를 먹으면 안구건조증, 야맹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설사를 하는 사람은 냉이를 적게 먹어야 한다.

구기자싹(枸杞芽)

영양성분: 비타민C, 비타민E, 카로틴, 식이섬유, 칼시움, 철분 등이 풍부하다.

약용가치: 구기자싹은 가지과 식물인 구기자의 연한 줄기와 잎이다. 잎은 란형 또는 피침형이며 맛은 약간 쓰고 달며 질감은 신선하고 부드럽다. 중의학에서 구기자싹은 열을 내리고 눈을 맑게 하며 간화증으로 인한 적목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구기자싹은 성질이 차기 때문에 비장과 위장이 약한 사람들은 주의해서 먹어야 하며 고혈압환자는 섭취량을 조절해야 한다.


래원: 인민넷-조문판(편집: 장민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