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4일, 상해시청소년연구중심에서 동정(同程)려행과 련합으로 <2025 도시청년 관광소비 보고>를 발표하여 18세부터 35세 사이 청년들이 출행 특징과 추세변화를 분석했다.
<보고>는 새로운 일선 도시의 젊은이들의 출행은 저령화 추세가 뚜렷하고 절정기를 피해 금요일에 출행하며 ‘고속철도 예약 3일 책략’이 보편적인 출행기준이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길 등 개성화 관광목적지가 숏트 클립의 전파, 확산을 통해 젊은이들의 ‘소셜화페(社交货币)’로 부상했다.
소셜화페는 경영학의 새로운 개념으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와튼경영대학원의 시장경영학 교수 요나·버거가 제기한 사람들이 사교활동과정에서 공유, 교류하고 자기를 표현하면서 사교가치와 동질감을 얻는 일종의 무형 자원을 가리킨다.
소셜화페는 현실화페와 마찬가지로 사교환경에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타인의 주목, 인정과 호감을 ‘살’ 수 있다. 사람들은 재미와 가치가 있는 내용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함을 표현함으로서 소셜화페를 축적하고 소셜미디어에서의 형상과 지위를 높일 수 있다.
동정연구원은 숏트 클립 소셜네트워크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동영상으로 방문을 인증하는 소셜화페는 젊은이들이 세계와 련결고리를 가지는 가장 직접적인 표현 방식으로 되였다고 분석했다. 개성화 관광목적지가 꾸준히 인기를 끌면서 길림 연길, 신강 카시가르, 복건 전주, 내몽골 아얼산, 귀주 진원, 운남 망시, 복건 장주 등 도시들이 독특한 문화와 특성화 된 체험으로 젊은이들의 시야에 들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