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설 명절에 해당하는 춘절 기간 한국내 백화점 매출이 지난해보다 3배 가깝게 급등했다.
지난 몇년간 불황속 한국내 류통가의 큰 손 노릇을 해온 "요우커(遊客•중국 관광객)"의 위력이 다시 입증됐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8∼17일 춘절 프로모션 기간 중국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은련카드 결제액이 지난해 춘절보다 264%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롯데백화점의 은련카드 매출 증가률은 평균 156%다. 대체적인 추이와 비교해도 100%포인트 넘는 격차다.
외국인 대상 상품권 증정행사에도 지난해보다 1.5배 이상 고객이 몰렸고,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스크래치 복권 경품행사"에선 준비한 복권 3천장이 순식간에 동났다.
중국인 관광객이 몰리는 본점의 경우 춘절 기간 10여명의 통역 인원을 보강, 30명 넘게 통역 인력이 상주했지만 여전히 일손이 부족했다는 후문이다.
한국 현대백화점도 12∼17일 춘제 기간 중국인 고객 매출이 전년 대비 235.2% 늘었다고 밝혔다.
성형수술 등을 특화한 강남지역 의료관광이 크게 는데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중국에서 뒤늦게 인기몰이를 한것도 한몫했다.
백화점측은 은련카드 사용 고객 대상 추가 할인과 소녀시대 등 케이팝 스타 초청 사인회 등 중국인 고객 맞춤형 행사도 효과가 좋았다고 설명했다.
현대백화점 이대춘 마케팅팀장은 "백화점이 또 하나의 관광 명소로 거듭나기 위해 한류문화와 련계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신세계백화점은 1∼17일까지 중국인 고객 매출이 86% 증가, 지난해보다 2배 가까운 신장률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류 열풍을 타고 해외명품 의류보다 한국 의류 브랜드를 선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는 추세다.
백화점은 춘절 기간에는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지고트, 모조에스핀 등 브랜드가 중국인 매출에 힘입어 1, 2위를 차지하고, 화장품도 SKⅡ, 키엘 등을 제치고 후와 설화수 등 국내 브랜드가 매출 역전을 일으킨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신세계 집계 중국인 매출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녀성 의류 지고트였다.
이어 MCM, 모조에스핀 등이 2~3위를 차지했고, 화장품 후와 녀성 정장 타임이 4∼5위였다.
이번 춘절 기간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지난해보다 25% 늘어난 6만3천여명에 달할것으로 예측됐다.
래원: 인터넷흑룡강신문 | (편집: 김홍화) |
주의사항: 1. 중화인민공화국 해당 법률, 법규를 준수하고 온라인 도덕을 존중하며 일체 자신의 행위로 야기된 직접적 혹은 간접적 법률책임을 안아야 한다. 2. 인민넷은 필명과 메모를 관리할 모든 권한을 소유한다. 3. 귀하가 인민넷 메모장에 발표한 언론에 대하여 인민넷은 사이트내에서 전재 또는 인용할 권리가 있다. 4. 인민넷의 관리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경우 메모장 관리자나 인민일보사 네트워크쎈터에 반영할수 있다. |
많이 본 기사 | 24시간 | 48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