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눈의 눈동자는 우리가 보고저 하는 방향에 맞춰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거의 대부분 사람이 눈동자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가 없다. 만약 각각 다른 방향으로 눈동자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면 조금 더 시야가 넓어지지 않을가?
이와 관련해 사시라고 해서 본인이 원치 않아도 2개의 눈동자가 다른 방향을 보는 사람이 있다. 또한 사시가 아니라도 본인이 인위적으로 눈동자의 방향을 움직이는 사람도 있는데 다른 사람은 못하는 행동이므로 개인기라고 자랑하기도 한다. 왜 두 눈동자는 같은 방향으로만 움직일가.
오른손잡이중에서 96%, 왼손잡이와 량손잡이중에서 70%의 사람이 좌뇌가 우성 대뇌반구라고 한다. 이 좌뇌에서 눈동자를 움직이도록 하는 신호가 시작된다. 좌뇌에서 발생한 신호는 뇌들보(량쪽 대뇌반구 피질을 련결하는 신경섬유다발)을 가로질러 우뇌로 이동한다. 그리고 우뇌에서는 뇌교(뇌간의 중뇌와 연수 사이에 있는 부분) 왼쪽에 있는 여섯번째 뇌신경인 외전신경을 교차하면서 왼쪽 눈의 외직근을 활성화시킨다.
눈에는 6개의 근육이 있다. 4개의 안근을 직근이라 하고 나머지 2개를 사근이라고 한다. 왼쪽 눈의 외직근을 활성화하면 왼쪽 눈동자는 왼쪽으로 움직인다. 이때 오른쪽 눈은 내직근을 활성화해서 왼쪽으로 움직이고 신경핵간의 련결을 잇는 내측종속은 오른쪽 눈의 외직근이 활성화하는 것을 억제해주어서 오른쪽 눈동자가 왼쪽으로 잘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은 두 눈동자를 똑같이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두 눈동자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목적은 량안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시야에는 단안시각과 량안시각이 있다. 한쪽 눈으로만 볼 수 있는 시야가 단안 시각이고, 량쪽 눈이 겹친 시야가 량안시각이다. 량안 시각이 발달하면 립체감과 원근감을 잘 느낄 수 있고 단안시각이 발달하면 시야에 사각이 적어지므로 외부의 위험요소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참고로 우리 신체가 량안시각을 유지하기 위해 량쪽 눈이 동등한 신경지배를 받아서 동시 운동을 한다는 법칙을 헤링의 법칙이라고 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눈동자의 방향을 인위적으로 달리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는 일시적으로 가능하다. 그렇다면 눈동자 2개를 각각 자유롭게 움직이는 카멜레온을 보자. 카멜레온의 두 눈은 다른 역할을 한다. 한쪽 눈은 목표물을 계속 추적하고 나머지 한쪽 눈은 주변을 살핀다. 이런 일이 가능한 리유는 뇌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지시하기 대문이다. 이런 카멜레온도 눈동자를 굴리다가 마지막에는 목표로 하는 지점에 최종적으로 초점을 맞춘다. 즉 눈동자를 잠간만 따로 리용할 뿐이다.